■ 책소개
READ & EQ 지수 1465 베스트 고전문학선 1
사씨남정기는 숙종이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위시키고 간특한 희빈 장씨를 중전으로 책봉하는 것에 반대하다가 남해로 귀양 가서 숙종의 흐려진 마음을 깨우치고자 풍자해서 지은 것이라 한다. 따라서 중국을 배경으로 설정하여, 작중 인물 사씨 부인은 인현왕후에, 유 한림(劉翰林)은 숙종에, 요첩(妖妾) 교씨(喬氏)는 희빈 장씨에.......
이 작품은 국문본과 한문본이 함께 전해지며, '남정기’ 또는 ‘사씨전’이라고도 한다. 작품의 성격상 풍간소설, 가정소설, 도덕소설, 사회소설 등으로 일컬어진다. 이 작품을 읽어보면, 인현왕후를 내친 숙종 개인의 행위가 어리석었음을 비판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일종의 도덕 윤리 비판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사씨남정기의 전반부는 유씨 가문 내에서의 갈등을 주로 그렸고, 후반부는 조정에서의 정치적인 사건의 해결을 주로 다루었다. 이것은 결국 숙종의 각성을 촉구하고 나아가 인형왕후의 복위를 주장하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고 보인다.
왕비에서 쫓겨난 인현왕후는 그 친정인 안국동 본궁에서 어두운 날들을 눈물로 보내다가 희빈 장씨의 모든 죄상이 탄로 난 후 6년만에 다시 복위하게 되는데 이것은 소설에서의 사씨 부인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숙종은 자가의 잘못을 깨달아 장 희빈을 내쫓고 인형왕후를 복위시켰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이것은 하나의 목적소설이라 하겠지마는, 그러나 그때까지 있어온 소설이란 것이 군담이 아니면 틀에 박힌 연애를 그린 것이 많았던데 비하여 이 사씨남정기는 가정 안의 처첩 사이의 싸움을 주재로 한 최초의 가정소설이라 할 수 있으며 궁중생활의 내면을 파헤친 훌륭한 작품이며, 베스트 고전문학으로 길이 남을 만한 작품이다.
■ 목차
작가소개
COPYRIGHT
이 책을 펴내며
작품 해설과 특징
유 연수와 사 소저의 성혼
요망한 첩
간악한 문객과 흉악한 요첩의 간계
간악한 흉계로 집을 쫓겨나는 사씨 부인
남으로 남으로 정처 없이 유랑하는 사씨 부인
귀양 가는 유 한림과 태수가 된 동청
은사를 입어 돌아오는 길에
백빈주에서 천우신조로 만난 여인
천벌을 받는 악인들
가족의 재회와 현첩
행복한 여생을 누리며
■ 출판사 서평
고전이란 "영원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즉, 우리 조상들이 생활하면서 생각하고 느낀 모든 것들이 깃들어 있는 '우리의 정신적 고향'이며, '참된 인간교양의 근원이요, 샘'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의사소통은 기계화되고, 생각과 지각의 샘은 점점 고갈되는 고달픈 현대의 삶, 그것은 한마디로 '우리의 정신적 고향'을 잃어버리고 살아가는 것이다. 우리의 잃어버린 고향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은 아주 간단하다. "영원한 가치의 고전'을 찾아 가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 아닐까.
고전문학은 우리들의 잃어버린 정신적 고향을 찾아 줄 새로운 출발점으로 안내할 것이다.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지혜의 옹달샘'의 원천으로 항상 우리 곁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다시 정신적 고향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그곳에서 진정한 우리의 가치와 우리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베스트 고전문학선 1 사씨남정기>는 오늘날 우리들이 꼭 읽어 보아야 할 주옥같은 작품들 중에 하나 있다. 특히 중 고교생들의 문화적 소양과 교양 및 수능과 논설을 위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평이하게 편집하였다. 또한 저자와 작품의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여 독자들이 이를 통해 더 깊은 고전의 세계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는 분망한 현대생활 속에서도 고전을 통해 '우리의 정신적 고향'의 따스함을 느낀다면 그 보다 더 반가운 일은 없을 것이다.
김만중(金萬重)
조선시대의 문신. 소설가. 전문 한글인(1637~1692년)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중숙(重叔), 호는 서포(西浦),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1665년(현종 6) 정시문과에 장원, 정언, 지평, 수찬, 교리를 거쳐 1671년(현종 12)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어 경기 삼남(三南)의 진정(賑政)을 조사하였다. 이듬해 겸문학, 헌납을 역임하고 동부승지가 되었으나 1674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작고하여 자의대비의 복상문제로 서인(西人)이 패하자,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그후 다시 등용되어 1679년(숙종 5) 예조참의, 1683년(숙종 9) 공조판서, 이어 대사헌(大司憲)이 되었으나 조지겸 등의 탄핵으로 전직되었다. 1685년 홍문관 대제학, 이듬해 지경연사로 있으면서 김수항이 아들 창협의 비위까지 도맡아 처벌되는 것이 부당하다고 상소했다가 선천(宣川)에 유배되었으나 1688년 방환(放還)되었다. 이듬해 박진규, 이윤수 등의 탄핵으로 다시 남해(南海)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1692년 56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서포 김만중은 국문에 대한 큰 애정으로 몇 편의 국문소설을 직접 창작하기도 해 우리의 문학 예술 발전에 있어 주제적 입장을 공개적으로 천명하고 실천에 옮긴 최초의 문학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저서에 《구운몽》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서포만필(西浦漫筆)》 《서포집(西浦集)》 《고시선(古詩選)》 등이 있다.